유방암 재활치료
유방암은 유방 부분 절제. 유방 전체 절제. 목은 가슴의 근육까지
제거하는 근치유방절제술 같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한다.
치료 후유증으로 팔의 림프부종과 어깨관절이 뻣뻣해지는 현상이
올 수 있다.
따라서 림프부종을 예방하고 어깨관절의 기능을 최대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절제술 환자의 관절운동은 수술 직후인 1 ∼2일째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팔을 앞으로 드는 운동은 처음에는 40도 정도로 제한하다가 수술
후 4일째부터는 매일 10~15도씩 관절 범위를 크게 한다.
옆으로 드는 운동은 선을 뽑기 전까지는 45도 이내로 제한한다.
이 시기부터는 근 경련을 막기 위해 통중 완화를 위한 물리치료를
시작한다·.
상처 부위에 대한 마사지는 수술 후 한 달후에 시작하며 수동적
이건 능동적 이건 관절. 범위 운동은 적어도 2년간 실시한다.
유방암의 장기적인 합병증으로 가장 흔한 것은 림프부종이며 .
다른 원인에 의해 생긴 림프부종과 같은 치료법을 사용한다.
[운동지침]
- 가슴과 어깨 운동(수술의 종류라 무관하게 실시)
수술이 끝나면 팔의 준비운동을 사직한다. 약 일주일간 매일
오전과 오후에 10번씩 해준다.
0일째 : 수술 당일은 푹 쉰다.
1일째 : 손가락 구부리기. 팔꿈치 구부리기를 한다.
2일째 : 팔꿈치를 펴고 손목과 팔꿈치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린다.
1일째 : 팔꿈치를 90도로 구부리고 팔을 안쪽과 바깥쪽으로
돌린다
4일째 : 팔꿈치를 펴고 반대쪽 손으로 팔을 받친 후. 전후좌우로
팔에 힘을 준다
5일째 : 허리를 90도로 구부리고 팔을 아래로 늘어뜨린 다음
시계추처럼 팔을 돌린다 (자료: 국립암센터 )
이틀째부터는 수술한 쪽의 팔을 사용하여 젖은 수건을 짜거나
세수를 하구 옷 갈아입기, 침대 주위의 정리정돈 등도 직접 하도록
한다.
수술 후 7∼10일째부터 꽂고 있던 관(drain)을 뽑고 본격적으로
운동을 시작 한다.
피부를 이식한 경우나 상처 치유 경과에 따라서 운동을 시작하는
시구가 늦어지기도 한다.
운동하는 도중에 근육이 심하게 담겨지거나 통중 때문에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에는 자세를 그대로유지한 채 심호흡을 한다 그러면 근육의
긴장이 풀린다 불쾌감이 가라 앓으면 다시 운동을 하고. 만일
가라앉지 않으면 무리하지 말고 잠시 쉬도록 한다.
운동을 하면 팔이 더 심하게 붓는 경우도 있는데. 일시적인 것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운동을 마치고 마사지를 하거나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 팔을 올려두면
서서히 붓기가 빠진다.
(운동의 예)
1 수술한 팔을 반대쪽 팔로 받쳐서 똑바로 위로 올린다
2 양쪽 손을 겹친 다음 똑바로 위로 올린다
3 수술한 팔을 반대쪽 팔로 받쳐서 반대쪽 어깨로 가져간다(팔꿈치는
되도록 높이 들도록 한다).
4. 수술한 팔을 받치지 않은 채로 반대쪽 어깨로 가져간다(팔꿈치는
되도록 높이 들도록 한다)
5 뒤에서 팔짱을 끼고 팔꿈치를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한다
6 뒤에서 팔짱을 끼고 팔을 뒤로 당기듯이 편다.
7 양손을 벽에 대고 발을 위로 올린다.
8 수술한 팔을 벽에 붙이고 옆으로 서서 팔을 수직으로 올린다.
9 팔짱을 끼고 손을 머리 위쪽으로 편 다음, 머리 뒤쪽으로
팥꿈치를 접었다가 펴고 1초간 정지한다. 그 다음 팔을 내린다.
이상의 동작 1부터 9를 10번씩 . 하루에 1 ∼2회 성도
천천히 실시한다 일상생활을 하며 경험하는 머리 감기 . 하반신
샤워 . 빨래 등의 동작은 팔과 어깨를 위한 좋은 운동이다.
- 팔의 붓기 예방
1. 팔의 림프액이 잘 흐르게 하기 위한 운동법
-수술한 팔을 무리해서 사용하지 말고.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도 피한다
-팔을 들거나 손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한다(관을 빼고
나서)
-심장 쪽을 향해 팔을 마사지해 준다. 팔이 무겁게 느껴시는
것은 붓기 전의 증상이므로 팔을 높은 곳에 두고 쉽게 하는 것이
좋다.
-팔이 붓는 경우 증상이 가벼우면 앞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붓기를
뺄 수 있지만, 증상이 심하면 붓기를 빼기가 어렵다. 염증이
일어나거나 세균에 감염되면 림프가 증가하는데. 림프의 순환이
잘 안 되는 상태이므로 평소보다 더 잘 붓게 된다.
2. 붓기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
- 무거운 물건을 오랫동안 들지 않는다.
- 화상을 입을 정도의 일광욕은 피한다
3. 수술 부위의 감염 예방을 위한 방법
- 흙을 만지는 작업을 할 때에는 장갑을 착용한다
- 만일 상처가 나서 팔 전체에 열이 나거나 빨갛게 부으면
병원에서 진찰을 받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