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 네비게이션

희망의 주인공들
만나볼까요?

암 건강 정보

암 관련 건강정보입니다.
본 컨텐츠는 정부관련기관의 승인(2012.12.14)으로 인해
제공된 것임을 밝힙니다.

차가버섯
샘플신청

믿을 수 있는 최고의
제품을 원하시나요?
샘플도 상락수입니다.

샘플 신청하기

상락수 차가버섯
믿고 선택할 수 있는 이유!

  • 식품신소재학연구팀과 차가버섯 공동연구 및 세계 학회 발표
  • 베타글루칸, 베툴린산
    고농도 추출기술 특허보유
  • KBS, SBS TV
    상락수 차가버섯 소개
  • 러시아 추출기술과 한국 건조기술 생산방식으로 한층
    뛰어난 차가버섯 품질
  • 철저한 품질관리와 검사로
    안전한 차가버섯
  • 희망의 주인공들이 가득한 곳!

상락수 러시아
탐방기

자세히보기
HOME > 건강정보
 

정의

타액선, 즉 침샘에는 크게 크기가 큰 주타액선과 작은 부타액선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주타액선은 귀 밑에 있으며 크기가 가장 큰 이하선, 턱 밑에 있는 악하선, 혀 밑에 있는 악하선이 좌우 각각 한 쌍 존재하며, 부타액선은 비강, 볼 점막, 구개, 혀를 비롯하며 인두 및 기관지에까지 다양하게 퍼져 있습니다.

 
[침샘의 위치]


타액선암은 전체 두경부암의 3~6%에 이르는 등 흔하지 않으며, 주로 이하선을 비롯한 주타액선에 발생합니다. 타액선암에는 세포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악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어서 치료 방법이나 예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원인

타액선암은 주로 55~65세에 발생하며, 타액선의 양성 종양은 그보다 젊은 나이인 45세에 가장 호발합니다. 타액선 종양은 이하선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이하선에 생기는 종양은 양성인 경우가 많고 크기가 작은 악하선이나, 부타액선에는 양성 종양보다는 악성 종양, 즉 타액선 암이 더 많이 발생합니다. 타액선 암을 일으키는 원인은 자세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른 두경부암과는 달리 방사선에 노출된 과거력이 타액선암 발생가능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흡연도 몇몇 종류의 타액선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타석증을 오래 앓거나 만성 염증을 앓는 경우에도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증상

타액선암은 귀 앞이나 턱 밑, 구강저에서 천천히 자라는 덩어리로 발견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통증이 수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하선에는 안면신경이 있어 타액선암이 진행되면 안면신경마비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경부임파선 전이로 인해 목에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하며 진행된 타액선암의 경우 전신 전이를 일으킬 수 있고, 폐전이가 가장 흔하며 그 다음은 골전이가 흔합니다.

① 이하선암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이하선 부위의 종물 또는 부종입니다. 이하선염이나 이하선의 양성 종양에 의한 경우가 훨씬 많지만, 특별한 호전 없이 지속적인 종물이 만져진다면 병원에 내원하여 자세한 검사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드물게 두피, 경부의 피부암에서 유래된 암종이 동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진행된 이하선암에서는 안면신경마비가 나타날 수 있고, 경부 임파선 종대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② 악하선암
대부분의 악하선암은 턱 밑의 무통성 종물이나 구강저의 종물로 나타납니다. 이 경우에도 대부분은 악하선 결석 또는 염증 때문이지만 악하선암에 의한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진행된 악하선암의 경우 턱뼈를 침범할 수도 있으며, 설신경을 침범하여 혀의 감각 마비를 일으키거나 안면신경마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부타액선
암구강내에 발생한 부타액선암은 구개, 입술, 볼 점막에서 점막하 종물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비강 및 부비동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막힘, 시야 장애, 입이 잘 안벌어지는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비인두에 발생한 부타액선암의 경우 심하면 두개골 내로 파급되기도 합니다.

 
 

진단

타액선암을 진단하는 가장 간단하고 일차적인 검사방법은 바늘을 이용한 세포검사, 즉 세침 흡입세포검사입니다. 타액선암의 침범범위를 확인하기 위해서 CT 또는 MRI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전신 전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PET 검사를 시행하며, 뼈에 전이 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뼈 주사 검사(bone scan)를 시행합니다.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경과/합병증

모든 두경부암에서와 마찬가지로 타액선암은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 밖에 예후와 관련된 인자로는 암종의 조직학적 형태, 수술 전 안면신경마비 유무, 종양의 병기와 크기, 주변조직으로 어느 정도 침범하였는지, 국소 또는 전신 전이 여부 등이 타액선암의 예후와 관련이 있습니다.

 
 

치료

타액선암은 원발 부위, 조직학적인 형태, 안면신경 침범 여부에 따라 치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작고 초기 단계인 종양은 단독 수술로 치료합니다. 진행된 커다란 종양에는 보통 수술 결과나 조직학적 소견에 따라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고려합니다. 수술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종양은 방사선치료와 항암치료를 이용합니다.

1. 수술적 치료
암종과 주변 정상 조직 일부를 절제하는 광범위 절제술이 필요합니다.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은 안면신경의 침범 여부입니다. 수술 전 안면 신경 마비가 이미 존재하거나, 수술 중 안면신경 침범이 확인된 경우 또는 안면신경을 보존하기 어려울 정도로 암종이 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능하면 안면신경은 보존하는 방향으로 수술합니다. 수술 중 안면신경의 손상이 없었다고 하더라도 수술 후에 일시적으로 마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일시적인 마비는 수개월 후에 정상적으로 회복됩니다. 암세포가 경부 임파선까지 퍼져 있는 경우에는 경부곽청술이라는 수술을 시행해서 임파선과 암세포를 함께 제거합니다. 목 부위에 전이가 없는 경우에도 잠정적인 전이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예방적 경부 임파선 절제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2. 방사선 치료
수술 후 암세포가 미세하게 남아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 조직학적으로 나쁜 예후가 예상되는 경우, 재발한 경우, 주변 조직으로의 침범이 광범위한 경우, 경부 임파선 전이가 심한 경우, 신경 침범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고려합니다.

 
* 본 내용은 올바른 건강정보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제품과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