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암의 원인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의학적인 관점에서 암 발생
인구의 ⅓은 예방 가능하고, ⅓은 조기 진단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⅓의 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하면 완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암사망의
30%는 흡연에 의해, 30%는 식이요인에 의해, 18%는
만성감염에 기인한다고 하였으며, 그밖에 직업, 유전, 음주,
생식요인 및 호르몬, 방사선, 환경오염 등의 요인도 각각
1-5% 정도 기여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암예방 생활습관 실천과 조기검진만으로도
암질환의 상당 부분은 예방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도 많은 암의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기는 하나 여러
역학연구를 통한 발암요인과 암발생 간의 인과관계에 근거하여
위험요인들을 밝혀내고 있습니다.세계보건기구의 산하기구인 국제암연구소(IARC)
및 미국 국립암협회지에서 밝힌 암의 원인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의 표에서 보듯이 암의 원인의 70% 정도는 흡연,
만성감염(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음식, 음주, 방사선
및 화학물질 노출등의 환경요인이 주이며 유전적인 원인이 5%
인 것을 감안하면 위험요인을 피하고 생활양식의 변화를 통해서
암의 예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한 사람에게
생긴 암의 원인에 대해 " 00때문이다 " 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습니다. 암은 무엇을 잘못했기 때문에 걸리는 질병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 암발생의 2/3를 차지하는 주요 호발암의
일반적인 원인(Contributing Factors)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