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조회하신 상품 목록

최근 조회하신 상품이 없습니다.

차가는 부등변 다공균-Inonotus oblipuus(Fr.) Pil의 무 과실(무생식)형태이다. 살아있는 나무줄기에서 직경 5-40cm의 불규칙하게 응결된 옹이 (struma)(차가로 불리는) 모습으로 자란다. 차가는 활발하게 성장하는 흰 곰팡이를 목질 속에 생기게 한다. 부패된 개별 부위들과 경계를 이루는 흑색 구역 및 균사와 균사체들은 나무 곳곳을 파고 들어간다. 자실체들이 형성될 무렵에는 이미 줄기의 상당부분이 침범 당한 상태인 경우가 보통이다.

차가는 활발하게 성장하는 흰 곰팡이를 목질 속에 생기게 한다. 부패된 개별 부위들과 경계를 이루는 흑색 구역 및 균사와 균사체들은 나무 곳곳을 파고 들어간다. 자실체들이 형성될 무렵에는 이미 줄기의 상당부분이 침범 당한 상태인 경우가 보통이다.

오래된 자실체들은 빛깔이 어두워지고 다면적으로 온통 균열이 생기면서 기체에서 떨어져 나온다(1, 2, 7). [ ][ ]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Inonotus obliquus 버섯에 의해 침범 당한 자작나무에서 생겨나는 옹이들이다.
분포권
차가는 북반구 온대 지역의 전 영토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나, 자작나무 분포권의 경계, 특히, 남쪽 경계에 다다르지는 않는다. 버섯의 가장 좋은 숙주는 Belula pendula 와 B. pubescens이다. 북쪽과 고산지대의 난장이 자작나무에서는 차가가 발견되지 않았고, 극동의 B. costata에서도 찾을 수 없었다.

다른 수종에서의 차가의 존재 여부를 보면, 오리나무속과 마가목에서 차가가 발견되는 경우는 자작나무가 자라고 있는 지역에서 다양한 수종의 나무들이 서로 직접 가까이 있는 혼합림에서만이다. 차가는 활엽수림, 혼합림, 적당히 습한 숲에서, 드물게는 자작나무가 섞여 자라는 적당히 습한 전나무 숲에 분포되어 있다.

생 태
차가는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는 버섯이다. 이 버섯은 오래되었거나 그에 준하는 자작나무를 주로 침범한다. 외부로부터의 해로운 영향에 더 잘 저항하는 젊은 나무에서 차가가 발생하는 빈도는 더 낮다. 때때로 차가는 오리나무속에, 상당히 더 드물게는 마가목, 단풍나무, 밤나무, 느릅나무에서도 생육한다. 차가는 살아있는 나무의 줄기만을 침범한다. 기생 부등변 다공균 inonotus oblipuus(Pers.) Pil에 의해 나무껍질이 감염되는 것이 차 가의 발생 원인이다. 이것의 포자는 공기를 통해 전파되고 다양한 원인의 결과로 나무의 껍질 부위에 떨어졌을 경우에만 발아한다. 형성되는 옹이는 점차적으로 무성해지면서, 상당히 크기로 자라난다. 때때로 옹이의 중량은 3-5kg 이상에 달한다. 차가는 성장에 유리한 조건에서는 10-15년 이상 지속적으로 자라날 수 있다.

차가 옹이들 의 형태는 침범 당했을 때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러한 침범을 통해서 자작나무가 부등변 다공균에 감염되는 것이다. 옹이의 대부분은 둥근 형태이거나 아니면 균열을 따라 길게 뻗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2, 7).

공급원
차가는 소련의 유럽 지역에 위치한 숲 지대에서 조달하지만 적게는 서시베리아 지역에서 나오기도 한다. 1970-1975년에 소련에서 마른 차가의 조달량은 매년 300-500톤이 되었다. 가장 대 규모로 이루어진 조달은 브레스트스까야와 체르니고프스끼 주에서 있었는데, 그 지역에서 각각 20-30톤씩이 된다. 우즈베크와 리투아니아, 백러시아의 민스크 주, 모르드바 자치 공화국, 보로네쥐와 리페쯔크 주와 크라스노다르스크 및 스타브로폴 스카야 지방에서 1-10 톤씩의 차가가 조달되었다. 1톤 이내의 차가 원료는 러시아공화 국, 우즈베크공화국 및 백러시아 공화국의 다른 많은 주들에서 조달되었다.

차가는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채취할 수 있다. 그러나, 나무에 잎이 없어서 숲에서 차가를 찾아내는 것이 좀더 용이한 시기인 늦가을, 겨울 또는 초봄에 가장 빈번하게 수확한다. 원료를 채취할 때는 자작나무의 옹이(차가)를 나무줄기에서 도끼로 찍어내고 나서, 사용하기 부적절하고 쉽게 부서지는 밝은 색 부분을 옹이로부터 잘라낸다(3). 그 다음엔 차가를 조각조각 썰어서 건조기 또는 오븐에서 50-60도를 넘지 않은 온도로 건조시킨다(3, 7). 완전히 건조된 원료는 20% 이상의 추출물과 12% 이 하의 수분을 함유해야만 한다(3,7).

화학적 성분 조성
차가의 옹이에는 12.3% 미만의 재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재 속에는 SiO2, Fe2O3, Al2O3, CaO, MgO, Na2O, K2O, ZnO, CuO, Mn2O3 등의 산화물들이 포함되어 있다. 다량의 칼륨이 함유되어 있다는 점이 차가의 높은 방사능의 원인이 된다(12, 14). 이외에도, 차가의 옹이에서는 다음과 같은 산들이 검출되었다. 수산(oxalic acid), 의산(개미산), 초산, 낙산, 바닐린산, 파라옥시벤조, 테트라사이클린 트리테르펜 그룹의 두 개의 트리테르펜 산(triterpene acid), 오블리크비노산, 이노노토산 기타 등등, 또한 프리페놀, 다당류(이것의 가수분해의 결과로 reduced sugar가 만들어진다), 프테린, 리그닌, 세포막질, 스테린  에르고스테롤, 라노스테롤, 이노토디올(4, 5, 9, 10,13).

차가의 주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 간주되는 것은 집중적으로 염색된 수용성 chromogen인데, 이것은 화학적 활성을 지닌 페놀 알데이드, 폴리페놀, 옥시페놀카본산 및 그것들의 퀴논 (quinone) 복합체로 형성된 것이다. chromogen 복합체에서는 또한 휴민(humin) 유사 물질들이 추출되는데, 이물질들의 분해물이 글루코스, 갈락토스 그리고 크실로스 등이다 (9). 모든 화합물은 자작나무 껍질을 무두질하는 물질(tanning agent) 및 자작나무 목질의 리그닌 등을 생합성하는 산화방향족 선구물질과 유전학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4, 9, 11,13).

옹이의 표면은 검은 색으로 깊게 균열이 나 있고 그 안쪽 부분은 암갈색이며 목질의 적황갈색이며 무색의 균사로 구성된 하얀 결들을 가지고 있다. 줄기 부분에 가까운 구역은 버섯의 균사뿐만 아니라 목질 세포들도 가지고 있다. 갈색의 색조가 나타나는 것은 차가의 주요한 질량을 이루는 통통한 벽이 있는 갈색 균사가 색소 침착된 결과이다.

나무가 고사(枯死)하고 나면 차가의 성장은 실제적으로 멈추게 되지만 줄기의 반대편 위치에 통상적으로 갈색 색조의 버섯 자실체(fruiting body)가 생겨나는데 이것은 기체(基體-substratum)를 따라 크게 넓어져서 줄기의 길이를 따라 0.5-1미터 길이에 이르도록 뻗어나간다. 자실체는 처음에 나무껍질 밑에서 성장하며, 자실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주 균습(supporting gill) 이라고 불리는 것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윗부분이 납작한 빗살 모양의 나무 혹이다. 자실체가 완전히 여물게 되어 포자형성 과정이 시작되면 나무의 껍질은 지주 균습의 압력하에 온통 균열이 생겨 떨어지면서, ‘히메노포르’라는 부분을 드러낸다.

자실체의 균사를 현미경으로 보면 차가의 균사와 유사하다. 이 균사들 역시 촘촘하고 평행하게 엮여 있다. 자실체에서 균사는 基體-substratum-(나무)에 평행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지주 균습에서는 수직으로 놓여 있다. 자실층(hymenium)에는 단자병 (basidium) 외에도 배(pear) 모양, 혹은 거의 원추 모양의 적황갈색 자모(刺毛-seta)가 수없이 많이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크지 않은 다발로 자라나는 무색의 가는 선상체인 균사가 있다.

포자들은 보통 양이 많고 가장자리가 두껍고 거의 무색인데, 나중에는 연한 황적색이 되며 타원에서 넓은 타원이 되어간다. 크기는 7-9 x 5.5-6mm로 내부에 한 개, 혹은 몇 개의 기름방울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다른 서술된 내용은 국내법상 보여 드릴수가 없습니다.